아시아 데이터센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2)
<펀드업계의 스타 플레이어들이 아시아 데이터센터에 주목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과 5G 네트워크 개발 및 전자 상거래의 지속적 성장에 힘입어 인터넷 트래픽이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19 대유행은 인터넷 성장을 더욱 부채질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은 고르지 못했고 유럽과 북미의 개발에 비해 지역별 편차가 크며 덜 성숙했다. 이 말인 즉, 부동산 투자자들이
인프라 콘텐츠입니다.
<펀드업계의 스타 플레이어들이 아시아 데이터센터에 주목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과 5G 네트워크 개발 및 전자 상거래의 지속적 성장에 힘입어 인터넷 트래픽이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19 대유행은 인터넷 성장을 더욱 부채질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은 고르지 못했고 유럽과 북미의 개발에 비해 지역별 편차가 크며 덜 성숙했다. 이 말인 즉, 부동산 투자자들이
<펀드업계의 스타 플레이어들이 아시아 데이터센터에 주목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과 5G 네트워크 개발 및 전자 상거래의 지속적 성장에 힘입어 인터넷 트래픽이 크게 증가했다. 코로나19 대유행은 인터넷 성장을 더욱 부채질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은 고르지 못했고 유럽과 북미의 개발에 비해 지역별 편차가 크며 덜 성숙했다. 이 말인 즉, 부동산 투자자들이
사진: 미국 JFK공항 홈페이지 갈무리 공사비만 95억달러에 이르는 미국 JFK국제공항의 신터미널원(New Terminal One) 건설사업에 KDB산업은행이 대출주선기관으로 이름을 올렸다. 글로벌 공항 건설사업에, 그것도 상환 안정성이 높은 선순위 대출기관으로 국내 금융사가 참여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17일 산은과 JFK공항에 따르면 캐시 호철 뉴욕 주지사는 지난 10일(현지 시간) JFK공항의 파이낸셜 클로징(금융 약정)
회사채(3년)의 3개월 금리추이(네이버 금융 캡쳐)"아침에 사업주와 금융 조건을 협상하고 오후에 사무실 복귀하면 금리가 바뀌어 그 금리로는 답이 나오지 않습니다." (A은행 관계자) 요즘 금융주선기관 사이에는 아침 금리 다르고 저녁 금리 다르다는 말이 회자되고 있다. 금리가 다락같이 오르고 변동성도 확대되면서 사업주를 대행해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주선기관들이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지난 2019년 2월 포천~화도 고속도로 착공식 모습(왼쪽부터지성군 남양주부시장, 박윤국 포천시장, 이화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 김일평 서울지방국토관리청장, 안시권 수도권외곽순환고속도로㈜ 사장, 김동호 포스코건설 인프라사업본부장, 최승환 ㈜유신 부회장이 포천~화도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착공행사에 참석해 테이프 커팅식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건설 국내 민자도로(터널, 대교 포함)는 총 32개에 달한다. 이 중
GTX B노선도(사진: 국토교통부 보도자료)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B노선의 민자 구간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다. 빠르면 내달 사업자 모집을 위한 기본계획 고시 및 입찰공고문(RFP)를 내고 우선협상자 선정작업에 착수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 10일 GTX B노선 건설사업을 위한 민자업계와의 간담회를 열었다. 이달 말 열리는 기업재정부의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에
글로벌 인프라 사모펀드기업인 영국계 액티스(Actis)는 인도 웰스펀(Welspun) 그룹 계열 웰스펀 엔터프라이즈(WEL)로부터 인도 내에서 운영중 인 6개 유료 고속도로를 총 7억 7500만 달러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9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들 도로는 인도의 대표적인 남북고속도로를 포함해 인도 전역에 전략적으로 위치한 도로의 정부지급금(annuity)과 통행요금을 합해 수익을 낸다.
한국투자신탁운용에서 대체투자 부분이 분사해 신설되는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이 무려 7개 사업본부를 꾸린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외 부동산 개발사업을 포함한 실물 투자시장에서 공격적인 영업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10일 투자금융(IB)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신탁운용의 대체투자 부분 스핀오프 기업인 한국투자리얼에셋운용은 내달 중 금융당국의 설립인가를 예상하고 있다. 이에 앞서 한투리얼에셋운용은 서울 여의도 파크원에 새 둥지를 트고 본격적인 영업
지분투자와 선,후순위 대출채권을 모두 인수하는 이른바 통펀드 형태의 재원조달이 민간투자시장에서 여전히 인기를 모으고 있다. 통펀드 구조는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에 간간히 적용되다 지난 2016년 대형 도로사업인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에 처음 적용되면서 보편화됐다. 그렇다면 통펀드는 어떤 장점이 있길래 탄생한 걸까. 인프라시설의 민간 자금 모집 시장에서 초기에 대출기관이 선보인 후 건설사와
서울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이 정식 실시협약 체결을 앞두는 등 본 궤도에 오르면서 1조원에 이르는 프로젝트금융(PF) 자금조달이 금융권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당초 시나리오대로라면 사업주인 대우건설이 KDB산업은행을 금융주간사(ML)로 선정하고 민간자금을 끌어들어야 하지만 주간사 선정을 놓고 내부에 이견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9일 대우건설과 금융권에 따르면 내년 첫 삽을 목표로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장기간 지체되던 위례신사선 실시협약 체결이 빠르면 이달 중 종지부를 찍을 것으로 전망된다. 위례신사선의 민간투자사업자인 GS건설컨소시엄(강남메트로) 핵심 관계자는 3일 "서울시와의 실시협약 협상이 막바지 단계이며 빠르면 이달 말 관련 협약을 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협약 체결 이후 오는 9월 열리는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민투심)에 실시협약 결과를 보고할 수 있을 것"
AP, 발주처와 수주자간 윈윈(win Win) 관계 구축 위해 탄생 이용 요금이 민간사업자의 수입이 되는 리얼톨(Real Toll) 방식에서는, 비용을 들여도 시설을 Available(공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이용요금 수입의 확보로 이어진다. 따라서 시설이용 불가능 이벤트( Unavailability event)의 회피나 시설 폐쇄 시간의 단축을 위해 비용을 들이는 인센티브가 작동한다.